정부가 바뀌면서 최근 전기세, 수도세가 계속해서 오르고 있습니다. 민영화 이야기까지 함께 언급될 정도로, 한전의 적자를 이야기하면서 지속적인 전기세 인상을 예고하고 있는 점이 참 안타깝습니다. 교통, 전기, 수도와 같은 생활에 근간이 되는 시설들을 정부가 세금을 통해 적절히 관리함으로써 생활의 안정을 지원해야 하는 것이 맞는데, 이러한 사회 기본시설에도 자본주의 시각을 넣어 적자에 대한 문제점만 이야기하고 있는 점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결국 이러한 부담이 시민들에게 모두 고스란히 전가되는 것을 알면서 그러는 건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저희 집도 최근 아파트 관리비에서 전기세가 급등한 것을 보니 많이 속상했습니다. 그래서 조금이라도 전기요금을 덜 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고 공유하려고 합니다.
한전에는 복지할인이라는 제도가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유형에 따라 할인 신청해서 전기요금 감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유형 | 내용 |
장애인 복지할인 | 장애인복지법에 의한 장애 정도가 심한 장애인 대상 복지 할인 신청 가능 |
기초생활수급자 복지할인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기초생활수급자 대상 복지할인 |
대가족/다자녀/출산가구 요금 | 5인이상 가구나 3자녀 이상 가구 또는 3년 미만인 영아가 1인 이상 포함된 가구의 주거용 주택용 고객 대상 복지할인 |
국가유공자 복지할인 |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한 1~3급 상이자 대상 복지할인 |
사회복지시설 복지할인 | 사회복지사업법 제 2조에 의한 사회복지시설 대상 복지할인 |
차상위 계층 주택용 및 일반용 전력 복지할인 | 차상위계층 고객(주택용 및 일반용) 대상 복지할인 |
차상위 계층 심야전력 복지할인 | 차상위계층 고객(심야전력) 대상 복지할인 |
저는 5인이상 가구에 해당되어서 대가족 요금할인을 신청했습니다. 그 외에 복지할인에 해당되시는 분들은 한국전력 홈페이지(https://cyber.kepco.co.kr/)를 통해서 상세 내용 확인 후 신청하시면 됩니다.
1) 한국전력 사이버지점에 접속합니다.
메뉴의 "신청접수> 대가족/다자녀/출산가구"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로그인 화면이 나오는데, 기존의 회원이면 아이디/패스워드 입력하여 로그인하시고, 기존 회원이 아니시면 신규 가입하거나 또는 휴대폰 인증을 통한 비회원로그인이 가능합니다.
2) 대가족/다자녀/출산가구 요금 신청
아래와 같이 입력 항목들이 나옵니다. 항목에 맞춰 내용을 입력해야 하는데, 가장 먼저 "고객번호조회" 항목이 있습니다.
고객번호를 전기요금 고지서 등에서 확인 가능하신 분이시라면, 찾아서 해당 번호를 입력하면 되는데, 저의 경우는 아파트 관리실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아파트 관리사무소에 전화해서 본 건 신청하려고 한다고 하니 고객번호를 알려주더라구요. 고객번호는 10자리 숫자였습니다.
고객번호조회 항목에 해당 번호 넣고 "조회" 버튼을 누르면, 신청 가능하다는 팝업 안내창이 뜹니다. 확인하고, 아래 신청정보 항목들을 입력하시면 최종적으로 신청이 됩니다.
전반적으로 한국전력 홈페이지가 최신의 사이트와 달리, UI/UX가 친절한 느낌은 아닙니다. 다만 입력 항목 자체가 크게 어려운 부분은 없다보니,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쉽게 신청 가능합니다.
전화 신청은 123번으로 전화하시면 같은 내용 신청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런 류의 할인 정보들은 본인이 직접 챙기지 않으면 알아서 적용이 되지는 않더라구요. 물론 해당 요건에서 탈락하는 경우는 신청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제외되더군요. 각자 할인받을 수 있는 부분이 있는지 확인하셔서 전기요금 조금이라도 아껴 봅시다.
한전 에너지캐시백 신청하고 현금 돌려 받기 - 신청 방법 및 예상 금액 확인 (0) | 2023.07.18 |
---|---|
2023년 경기도 대학생 학자금 대출 이자 지원 받기 | 대상 확인 및 신청 필요서류 확인 (0) | 2023.07.05 |
성남시 취업준비생들 청년취업 All-Pass 사업 신청해서 자격증 시험 100만원 지원 받으세요(7월 31일까지) (0) | 2023.06.28 |
경기도 청년 복지포인트 120만원 신청하고 지원 받으세요 (0) | 2023.06.27 |
청년 목돈 마련 지원금 - 청년내일저축계좌 빠르게 신청하세요 (0) | 2023.05.10 |